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가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10가지 필수 체크 사항

by 지식 발전소~! 2024. 6. 13.
반응형

국가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10가지 필수 체크 사항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누리는 든든한 울타리, 바로 국가건강보험이죠! 하지만 건강보험 혜택이 워낙 다양하고 복잡하다 보니, 막상 필요할 때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2023년 기준, 꼼꼼히 챙겨야 할 국가건강보험 혜택 10가지를 자세하게 알아보고, 나와 내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데 유용하게 활용해 보세요.

1. 진료비 부담 줄여주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2017년부터 정부는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일명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이 정책은 건강보험 적용 범위를 넓혀 국민 의료비 부담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과정은 복잡하지만, 2018년 10월부터 상복부 초음파 검사의 건강보험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과거에는 비용 부담이 컸던 간, 담낭, 췌장 질환 진단 시 환자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 이처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은 우리 생활 속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2. 아플 때 꼭 필요한 '입원 및 수술 치료 지원'

건강보험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혜택은 바로 입원 및 수술 치료 지원입니다.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로 병원에 입원하거나 수술을 받게 될 경우, 발생하는 고액의 의료비를 건강보험이 상당 부분 부담해 줍니다. 특히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과 같은 중증 질환은 본인부담상한제를 통해 의료비 부담을 더욱 낮출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상한제란 1년 동안 본인이 지료비로 지불한 금액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그 초과 금액을 건강보험에서 다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2023년 기준 소득 하위 10%는 연간 83만 원, 소득 상위 10%는 598만 원까지만 부담하면 됩니다.

3. 꾸준한 관리가 중요한 '만성 질환 관리'

고혈압, 당뇨병, 천식, 폐렴과 같은 만성 질환은 꾸준한 치료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보험은 이러한 만성 질환자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꾸준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등록하면, 진료비 본인 부담률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검진과 교육, 상담 등을 통해 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만성 질환으로 꾸준히 병원을 찾는 분이라면, 꼭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여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 등록을 고려해 보세요.

4. 미래를 위한 투자 '건강검진 혜택'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는 속담처럼, 건강도 문제가 생기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건강보험은 국민들이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일반 건강검진은 2년에 한 번, 만 40세, 66세에는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으며, 암 검진은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암 종류에 따라 검진 연령과 주기가 다릅니다. 특히 2023년부터는 만 50세 남성의 경우, 1회에 한하여 전립선 MRI 검사 비용의 30%를 건강보험에서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5. 임신과 출산, 육아까지 든든하게 '임신·출산·육아 지원'

결혼과 출산율이 감소하는 사회 문제 속에서, 건강보험은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엽산제, 철분제 등 필수 영양제를 무료로 제공하고, 고위험 임산부에게는 입원 및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또한, 출산 후에는 산후조리원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사업'도 제공됩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지므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지원기관 또는 보건소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